Q.
'초콜릿'이 맞습니까, '초코렛'이 맞습니까?
A.
'초콜릿'이 맞습니다. 현실에서는 '초콜릿', '초코렛' 외에도 '쵸코렡', '쪼코렛', '초콜렛'과 같은 말이 쓰이고 있습니다. '초콜릿'은 영어의 chocolate에서 온 말입니다. chocolate의 발음은 [t k lit]인데 외래어 표기법의 원칙에 따르면 '초컬릿'이지만, 둘째 음절은 'ㅗ'로 발음하는 경향을 존중하여 '초콜릿'으로 옮긴 것입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이 [l]의 표기입니다. 어두의 [l]은 'ㄹ'로밖에 적을 수 없으므로 문제가 안 됩니다. 즉 life, line은 '라이프', '라인'으로 적습니다. 문제는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입니다. 예를 들어 slide, flash, blinder 등과 같은 말은 '스라이드, 프래시, 브라인더'라고 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만일 어중의 [l]도 'ㄹㄹ'이 아닌 'ㄹ'로 적는다면 표기법은 간단해지겠습니다만, 원어의 음과 거리가 너무 멀어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color, dollar, solo과 같은 말이 '커러', '다러', '소로'와 같이 표기되고 맙니다. 또 Philippine이 '피리핀'이 되고 Los Angeles가 '로스앤제레스'가 됩니다.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 'ㄹㄹ'로 적는 것은 이미 굳어졌으므로 새삼 [l]을 'ㄹ'로 하는 것이 우리말의 습관에 편리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고 하겠습니다. 더욱이 slide, clutch를 '스라이드, 크러치'로 발음하는 것이 편하게 느껴지는 세대는 일본어식 외래어 발음에 익숙한 세대이고 젊은 층에서는 오히려 '스라이드, 크러치'라고 발음하는 것이 더 거북하게 느껴지는 상태입니다.
어중에서 모음 앞에 올 때 외에도 [l]을 'ㄹㄹ'로 적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n]) 앞에 올 때에도 'ㄹㄹ'로 적습니다. 예를 들어 film은 원어의 발음이 [film]인데 어말에서 두 개 이상의 자음을 허용하지 않는 국어의 특성 때문에 자음 사이에 'ㅡ'를 넣어서 '필름'이 됩니다.
'한국어 > 한국어 ::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라이팬'이 맞습니까, '후라이팬'이 맞습니까? (0) | 2013.07.10 |
---|---|
'Thames 강'의 한글 표기는 무엇입니까? (0) | 2013.07.10 |
'텔레비전'이 맞습니까, '텔레비젼'이 맞습니까? (0) | 2013.07.10 |
'커트(cut)'라고 합니까, '컷'이라고 합니까? (0) | 2013.07.10 |
'compact disk', 'cake'는 한글로 어떻게 표기해야 합니까? (0) | 2013.07.10 |
'뒤퐁'과 '듀폰' 중에서 어느 것이 맞습니까? (0) | 2013.07.10 |
'짜장면, 자장멘, 자장면' 중 어느 것이 맞습니까? (0) | 2013.07.10 |
'아틀리에', '아뜰리에' 어느 것이 맞습니까? (0) | 2013.07.10 |
'어린이'라는 말의 어원을 알고 싶습니다. (0) | 2013.07.10 |
'스케치북'입니까, '스켓치북'입니까? (0) | 201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