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뱉아'로 적어야 하는지 '뱉어'로 적어야 하는지, 그리고 '얇아'로 적어야 하는지 '얇어'로 적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뱉어'와 '얇아'로 적습니다. [배터]와 [얄바]로 소리 나는 말이므로 '뱉어'와 '얇아' 적는 것입니다. 어간 끝 음절 모음이 'ㅏ, ㅑ, ㅗ'일 때에는 '아' 계열의 어미가 오고 그 밖의 모음일 때에는 '어' 계열의 어미가 오는 것이 원칙입니다.(《한글 맞춤법》제16 항 참조)
'한국어 > 한국어 ::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낭콩'이 표준어입니까?, '강남콩'이 표준어가 아닙니까? (0) | 2013.07.10 |
---|---|
바둑 해설 기사를 보면 "중앙으로 한 간 뛰었다.", '한 간'이 올바른 말입니까? (0) | 2013.07.10 |
책을 읽다가 "부모 잃은 가엾은 아이를 데려다가"라는 구절을 보았습니다. '부모 잃은 가여운 아이'라고 해야 하지 않습니까? (0) | 2013.07.10 |
'순조로와'와 '순조로워' 중 올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0) | 2013.07.10 |
"착한 사람이 돼라."라고 말할 때 '돼라'가 맞습니까, '되라'가 맞습니까? (0) | 2013.07.10 |
"얼굴이 누러네."입니까, "얼굴이 누렇네."입니까? (0) | 2013.07.10 |
'꺼멓다'에 '-어 지다'가 결합하면 '꺼메지다'입니까, '꺼매지다'입니까? (0) | 2013.07.10 |
"개가 고기를 넙죽 받아먹었다." '넙죽'으로 써야 하는지 '넓죽'으로 써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느 쪽이 맞습니까? (0) | 2013.07.10 |
'사귀어'의 준말은 어떻게 표기해야 합니까? (0) | 2013.07.10 |
"예부터"와 "옛부터" 중에 어느 말이 맞습니까? (0) | 201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