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젊은날의 사색

'운영'과 '운용', '보존'과 '보전', '개발'과 '계발'의 차이 본문

한국어/한국어 :: 우리말

'운영'과 '운용', '보존'과 '보전', '개발'과 '계발'의 차이

lumiere 2013. 7. 10. 17:52
반응형

Q.

'운영'과 '운용', '보존'과 '보전', '개발'과 '계발' 다음 단어들의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 알려 주십시오.




A.

가게나 기관 등에서 정기 휴일을 이용자에게 알릴 때 흔히 이러한 표현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 표현은 한 주가 무슨 요일부터 시작되느냐, 한 달이 주중에서 시작될 때 그 주도 그 달의 한 주로 보느냐 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달리 이해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8월 1일이 토요일일 때 첫째 주 월요일은 오지도 않고 지나갔을 수도 있고, 8월 3일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이 가게나 기관이 휴일을 갖기 위하여 생긴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첫째 주 월요일이라고 했을 때는 그달의 처음으로 시작되는 월요일을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1) 운영(運營)-운용(運用)
(2) 보존(保存)-보전(保全)
(3) 개발(開發)-계발(啓發)
국어에는 의미가 비슷한 단어들이 다수 존재합니다. 의미가 비슷한 말들은 비교해 보면 어느 정도 의미가 같기는 하지만 상호 간에 의미 차이가 없지 않습니다. 또 단어마다 비슷한 정도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거의 의미 차이를 알기 힘든 정도로 의미가 비슷한 경우도 있으며, 의미 차이가 쉽게 느껴질 정도로 의미상에 거리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계에서는 단어 사이의 이런 관계를 동의관계(同義關係)라고 하기도 하나 보통 유의관계(類義關係)라고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단어 사이에는 모든 문맥에서 완전히 대체될 수 있을 정도로 의미가 같은 경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유의관계를 맺고 있는 단어 사이의 의미 차이를 잘 파악하여 적절한 문맥에서 적절한 단어를 골라 사용한다면 언어생활이 훨씬 풍요롭게 되겠지만,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오히려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들을 구분해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한자어의 경우는 한자어의 특성상 의미도 비슷할 뿐만 아니라 발음도 비슷한 단어들이 존재하여 이들이 어떻게 의미가 다른지 알기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지금 질문하신 단어들이 대표적인 예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의어를 모아 그 의미 차이를 자세히 밝혀 주는 사전이 나오면 도움이 될 텐데 아직 국어에 대해서는 그런 사전이 나와 있지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