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치다'와 '붙이다'의 구별이 잘 되지 않습니다.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부치다'와 '붙이다'는 의미에 따라 구별해야 하는 말입니다. '붙이다'는 '붙다'에 사동의 의미를 더하는 파생접사 '-이-'가 결합한 단어입니다. '부치다' 역시 역사적으로는 '붙이다'와 어원이 같습니다. 그렇지만 '붙이다'는 '붙다'의 의미가 살아 있고 '부치다'는 그렇지 않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제22 항 '다만' 조항에서는 동사 어간에 '-이-'가 붙어 이루어진 단어는 원칙적으로 구별하여 적지만 '드리다, 바치다' 등과 같이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소리대로 적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붙다'의 의미가 살아 있으면 '붙이다'로 적고, 그렇지 않으면 '부치다'로 적습니다.
(1) ㄱ. 이 일은 힘에 부치는 일이다.
ㄴ. 소포를 부치다.
ㄷ. 이 문제는 회의에 부치도록 하자.
ㄹ. 원고를 인쇄에 부쳤다.
ㅁ. 밝은 달에 부쳐 읊은 시조.
ㅂ. 이 한 몸 부칠 곳이 없으랴.
ㅅ. 식목일에 부치는 글.
ㅇ. 밭을 부치다.
ㅈ. 빈대떡을 부쳐 먹는다.
ㅊ. 부채를 부친다.
(2) ㄱ. 봉투에 우표를 붙였다.
ㄴ. 담배에 불을 붙였다.
ㄷ. 자꾸 이러저러한 조건을 붙인다.
ㄹ. 이 땅에 뿌리를 붙이고 살아가는 식물.
ㅁ. 전문 용어에는 각주를 붙여서 설명했다.
ㅂ. 내기에 1000원을 붙이다.
ㅅ. 말을 밭에 붙이다.
ㅇ. 가구를 벽에 붙이다.
ㅈ. 환자에게 간호사를 붙이다.
ㅊ. 다리에 힘을 붙이다.
ㅋ. 이름을 붙이다.
ㅌ. 취미를 붙이다.
ㅍ. 농담을 붙이다.
'한국어 > 한국어 ::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欄'을 한글로 적을 때 '○○난' '○○란' 중에서 어느 쪽으로 적어야 하는지 몹시 혼란스럽습니다.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0) | 2013.07.10 |
---|---|
'노동량'입니까, '노동양'입니까? 그리고 '일양'입니까, '일량'입니까? (0) | 2013.07.10 |
'열렬하다'와 '늠름하다', '열열하다, 늠늠하다'로 적어야 합니까? (0) | 2013.07.10 |
한자 '率'과 '列'을 한글로 적을 경우 어느 때 '률, 렬'로 적고, 어느 때는 '율, 열'로 적나요? (0) | 2013.07.10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는 속담이 있는데 여기서 '하룻강아지'의 어원을 알고 싶습니다. (0) | 2013.07.10 |
흔히 '沒廉恥', '破廉恥'를 '몰염치', '파렴치'로 적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같은 한자이므로 '몰염치', '파염치'로 적어야 하는 것이 아닌지요? (0) | 2013.07.10 |
"오늘이 몇 월 ○○이냐?"에서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말은 '며칠'과 '몇일' 중 어느 것이 맞습니까? (0) | 2013.07.10 |
씨름에서 쓰는 말 '밭다리'를 '밧다리'로 써야 하는 줄로 알고 있었습니다. 왜 '밧다리'가 아닌 '밭다리'로 쓰는지 알려 주십시오. (0) | 2013.07.10 |
'물매미'로 올라 있는 사전도 있고, '물맴이'로 올라 있는 사전도 있는데 어느 것으로 써야 합니까? (0) | 2013.07.10 |
'설렘'과 '설레임' 중 맞는 말은? (0) | 201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