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초가집'이라고 하지 않고 '초가'라고만 해야 하지 않습니까?
'초가집'과 '초가' 둘 다 가능합니다. '초가'의 '家'에는 '집'의 의미가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집'을 덧붙여 '초가집'이라고 하면 이미 '초가'에 들어 있는 '집'의 의미와 중복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초가집'이 옳지 않다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같은 의미가 반복된다고 잘못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기존의 단어 구성에서 의미가 잘 드러나지 않을 때 그 의미를 보완하기 위해 같은 의미의 고유어 성분을 덧붙이는 경우는 흔히 있는 일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비롯한 지금까지의 여러 사전에서도 이러한 말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예로 '포승/포승줄'이 있습니다.
'한국어 > 한국어 ::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設立年度', '一次年度'에서 '년도'로 쓰는지, '연도'로 쓰는지요? (0) | 2013.07.10 |
---|---|
'피난'이 맞습니까? '피란'이 맞습니까? (0) | 2013.07.10 |
'눈곱'이 맞습니까, '눈꼽'이 맞습니까? (0) | 2013.07.10 |
"강물이 불기 전에 건너라."에서 '불기'는 맞는 말입니까? (0) | 2013.07.10 |
닭고기를 육개장처럼 끓인 음식은 '닭개장'이 맞습니까? '닭계장'이 맞습니까? (0) | 2013.07.10 |
"여쭈어 보아라."라고 해야 합니까, "여쭈워 보아라."라고 해야 합니까? (0) | 2013.07.10 |
'곡식이 영글다'입니까, '곡식이 여물다'입니까? (0) | 2013.07.10 |
"서울에 머물러"라고 해야 합니까, "서울에 머물어"라고 해야 합니까? (0) | 2013.07.10 |
'바르다'를 "그 학생은 예의가 발랐다.", "너는 예의가 발라서 마음에 든다." 옳은 표현 입니까? (0) | 2013.07.10 |
'알맞는'과 '알맞은' 중에서 어느 것이 맞습니까? (0) | 201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