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1Q84 / 무라카미 하루키





<저자소개>


무라카미 하루키


1949년 교토에서 태어났고, 1968년 와세다 대학교 문학부 연극과에 입학하여 전공투의 소용돌이 속에서 대학시절을 보냈다. 1979년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로 군조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문단에 데뷔했고, 1982년 첫 장편소설 '양을 둘러싼 모험'으로 노마문예신인상을, 1985년에는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로 다니자키 준이치로상을 수상하였다. 1987년에 발표한 '상실의 시대'는 일본에서만 약 430만 부가 팔려 하루키 신드롬을 낳았다. 그외에도 '태엽 감는 새', '해변의 카프카', '어둠의 저편', '렉싱턴의 유령', '도쿄 기담집', '먼 북소리', '슬픈 외국어' 등 많은 소설과 에세이로 전세계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미국과 유럽은 물론이고, 외국문학에 대해 배타적인 러시아와 중국을 포함한 세계 40여 개 나라에 출간되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2005년 <뉴욕타임스>는 아시아 작가의 작품으로는 드물게 '해변의 카프카'를 '올해의 책'에 선정했다. 또 2006년에는 엘프리데 옐리네크와 해럴드 핀터 등의 노벨문학상 수상자들이 받은 체코의 '프란츠 카프카상'을, 2009년에는 이스라엘 최고의 문학상인 '예루살렘상'을 수상하며, 문학적 성취를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책소개>


너무나 긴 이야기였다. 필자가 간단히 책소개를 하자면 현재까지 3권까지 나온 이 책은 한 권의 페이지가 무려 700페이지 가까이 되는 두툼한 두께를 자랑하는 책이어서 책 읽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 이는 쉽게 손이 가지 않는 책이라고 이야기 해두고 싶다. 하지만 그 책을 펼치는 순간 순식간에 700페이지에 달하는 분량을 술술 읽어나갈 것이다. 그만큼 몰입도가 있고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현실과 상상의 세계를 넘나들고, 때로는 영화의 한장면 같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고, 아름다운 로맨스를 보여주기도 한다. 


줄거리를 간단히 쓰자면 초등학교때 같은 반이었던 덴고와 아오마메는 20년이 지난 후, 각자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그러던 중 알 수 없는 힘에 이끌려 둘은 각각 어떠한 사건에 말려들게 되고, 너무나 다른 방식으로 둘은 극적으로 재회하게 된다. '엄청나게' 많은 우여곡적을 겪고 나서...


그리고 이 소설은 3권에서 끝난 것인지, 아니면 4권이 더 나올 것인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필자가 읽었던 3권의 마지막 장면은 4권이 굳이 필요할까 라는 나쁘지 않은 결말이었다.




<추천평>


많은 평들이 이 책에 대해서 잘 이야기 해 주고 있다.


지금까지의 일본문학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이미 코너를 돌아버려 후속 주자들이 보이지 않게 되어버린 느낌이다. 
압도적인, 월등한 스케일의 작품.
가토 노리히로(문학평론가)

2009년이 되어서도 무라카미 하루키의 신간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는 건 행운이다. 먼저 내게. 그 다음으로는 무라카미 본인에게. 나는 1991년에 그의 소설을 처음 읽었다. 첫 소설은 그의 데뷔작 였다. 흥미로운 소설이라고 생각해서 한 권 더 읽었다. 예의 그 이었다. 그 소설에 그만 푹 빠져버렸다. 소설 읽는 재미에 막 빠져드는 20대 초반 학생이라면 이런 일은 한 달에 한 번씩 일어난다. 그러니까 왜 이런 작가를 몰랐는가 하는 탄식과 함께 이전에 나온 그의 소설을 찾기 위해서 도서관으로 달려가는 일. 도서관은 넓고, 내가 읽지 못한 좋은 작가는 수없이 많은 법이니까.

하지만 이제 무라카미는 예외로, 그중에서도 아주 특수한 예외로 꼽아야만 할 것 같다. 일단 내게는. 20년 전에 나는 당연하게도 많은 소설가의 작품을 읽었다. 그때 이미 죽은 작가도 있었고, 지금은 고인이 된 작가도 있으며, 아직까지 살아서 글을 쓰는 작가도, 또 그다지 글을 많이 쓰지 않는 작가도 있다. 아무튼 그때나 지금이나 작가는 있다. 하지만 그때 내가 읽었던 작가 중에서 지금도 열렬하게 그의 신작을 기다릴 수 있는 작가는 많지 않다. 열 손가락을 넘지 않는다. 그러니 이런 작가의 존재가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으리라.

나한테 무라카미 같은 작가가 있어서 좋다. 하지만 나보다 더 좋은 사람은 무라카미 본인일 것이다. 20년 전에 비하면 그는 작가로서 엄청나게 성장했다. 거의 90%에 가까운 작가들의 대표작이 데뷔작이라는 사실을 떠올리면 이건 정말 대단한 일이다. 무라카미는 2000년대 들어 늘 지금 쓰고 있는 게 대표작이라고 주장하는 듯하다. 도 대단했지만 도 엄청났다. 그리고 올해 1·2권이 나왔다. 내년에 3권이 출간될 예정이라는 를 보노라면 그가 대작 강박증에 사로잡힌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마저도 든다.

그러거나 말거나 나는 무라카미가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사실은 속으로 응원까지 한다. 지금 시대에 이렇게 두꺼운 소설을 쓸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나는 그를 지지한다. 게다가 그는 30년 가까이 자신만이 쓸 수 있는 소설을 쓰는 중이다. ‘~중이다’라는 부분에 방점을 찍는다. 그간 그의 적들은 무라카미 같은 사람이 쓰는 소설이 소설의 죽음을 앞당길 것이라고 비판했는데, 그는 죽은 건 ‘어떤 소설들’이라는 걸 올해에도 증명했다. 이로써 그의 소설은 문학 내부에서도 문제적인 작품이 되었다. (자료협조:시사IN)
김연수(소설가)

그는 이 소설을 기점으로 확실히 변했다. 상실을 노래하던 젊은 작가는 이제 온기를 이야기한다. 이번 하루키 소설 속 사랑은 현실에 닿아서 부식되거나 왜곡되는 사랑이 아니고 새로운 의욕과 더욱더 절실한 현실을 낳는 사랑이다.
정혜윤(<런던을속삭여줄게>지은이,CBS라디오PD)

혹시 3권으로 이어지는 건 아닐까? 
독자들 마음속에서 끊임없이 결말을 이어 쓸 수 있는 작품!
계속 다시 씌어진다는 건, 바로 걸작이라는 것이 <1Q84>를 가리키는 말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아사히 신문 출판사

간절히 바라는 것, 그것이 ‘리얼’을 만들고, 인생을 만든다는 것을 가르쳐주는 소설.
가와이 쇼이치로(도쿄대대학원교수)

'하루키적'인 모든 것들이 녹아들어 있다. 그러나 그 모두에 앞서 이 소설은 애틋한 사랑 이야기다.
한국일보

진정한 사랑을 갈구하는 두 남녀가 서로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복합적이고 초현실적인 작품. 살인과 역사, 종교와 폭력, 그리고 가족과 사랑의 이야기.
가디언

존재의 내부에 깃든 공백을 메우는 사랑! 
일단 책을 손에 잡으면 읽기를 멈출 수가 없다.
‘하루키적’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매력적인 비유들이 넘쳐난다.
오노 마사쓰구(소설가)

작가의 모든 것을 불어넣은 듯한 작품이다. 
이제, 도스토옙스키가 <카라마초프 가의 형제들>을 출간한 나이를 훌쩍 넘은 하루키는, 
하나의 작품이 그 자체로 하나의 우주가 되는 소설을 추구하고 있다.
누마노 미쓰요시(도쿄대대학원교수)

현실의 이면으로 끌어들이는 마술! 
서스펜스의 매력을 마음껏 활용하는 능력을, 무라카미 하루키는 또한번 보여주고 있다.
주니치 신문

이 작품은 학생운동 이야기면서, 부자를 비롯한 가족의 이야기면서, 기묘한 SF적인 이야기다. 그리고 무엇보다, 언제나 필사적으로 그리워하는 아오마메와 덴고의 ‘사랑’이야기다.
홋카이도 신문

개성 뚜렷한 등장인물들이 품고 있는 불가사의한 과거의 상처들과 실타래처럼 엮인 비밀들을 감칠맛 나게 풀어간다.
동아일보

사랑과 인연의 안타까운 엇갈림을 겪어본 독자라면 공감의 농도는 더 진해질 것이다.
조선일보

하루키 필생의 역작으로 보인다. 강한 스토리 전개의 힘은 꼬리에 꼬리를 무는 궁금증을 일으키며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하게 한다.
한겨레 신문

작품은 오래 공들인 만큼 그동안 하루키가 보여 줬던 소설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현실과 환상을 오가는 능숙한 필치도 그렇고, 남녀 주인공의 애달픈 사랑 얘기를 은근히 섞어 내는 솜씨도 그렇다.
서울신문

전작을 넘어서는, 하루키의 세계 안에서 만들어진 또다른 세계! 한번 손을 대면 멈출 수 없는 하루키 소설 특유의 가독성에 정점을 찍는 느낌이다.
무비위크





<서평>


소개에서 이야기했듯, 읽자고 마음먹고 펼쳐들지 않았다면 이 소설을 읽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너무나 흥미진진한 이야기 전개에 나도 모르는 사이에 1권을 다 읽고, 2권을 끝내고, 3권을 손에 쥐고 있었다. 저자는 이야기 안에서 그 당시의 시대상을 상세히 표현하는데, 구체적인 브랜드의 이름이라던지, 자동차 모델 등을 언급하며 이해를 돕기도 하고, 고전의 문학을 적절히 인용하기도하고, 전혀 예상치 못했던 소재를 통해서 의미를 부여한다. 반전을 기대하게 만들다가도 그대로 전개되기도하고, 예상치 못한 반전을 보여주기도 한다. 다소 너무 허황된 이야기일 수도 있을 것같은 내용을 그 만의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풀어나간다는 느낌을 받았다. 


많은 말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다. 이 책을 읽지 않은 이라면 꼭 한번 읽어보길 권한다. 정말 다양한 것들이 소설 속에 녹아있다. 한마디로 읽는 이를 끌어들이는 무언가가 있다. 여러가지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