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Q.

한글 자모 "ㄷ, ㅈ, ㅊ" 등은 각각 "디귿, 지읒, 치읓"으로 쓰는데, 이들을 읽을 때는 "디귿이[디그시/디그디], 지읒이[지으시/지으지], 치읓이[치으시/치으치]" 중 어떤 것이 옳습니까?



A.

일반적인 국어 받침의 발음에서 'ㅇ'을 제외한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표준 발음법〉 제13 항 참조) 그리고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뒤의 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표준 발음법〉 제14 항 참조) 
(1) 홑받침이나 쌍받침의 예 
빚-이[비지]/빛-을[비츨]/덮-이다[더피다]/깎-아[까까]/있-어[이써]/꺾-이다[꺼끼다] 
(참조) 강-이[강이]/형-을[형을]/본성-에[본성에] 

(2) 겹받침의 예 
넋-이[넉씨]/흙-을[흘글]/핥-아[할타]/앉-아[안자] 

그러나 몇몇 한글 자모 이름의 발음은 일반적인 경우와는 다릅니다. 
한글 자모의 이름은 이름 속에 그 자모의 첫소리와 끝소리 모두를 보이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만든 것입니다(《訓蒙字會》[1527년, 崔世珍 著]에 한글 자모의 이름이 처음으로 나옴). 이런 이유에서인지는 몰라도, 같은 발음을 가진 다른 어휘들과는 그 발음이 달리 나타납니다. 

(3) 받침이 'ㄷ'인 경우 


닫-아[다다] 해돋-이[해도지] 
닫-을[다들] 굳-이[구지] 디귿-이[디그시] 
굳-어[구더] (구개음화의 예, <표준 디귿-을[디그슬] 
굳-을[구들] 발음법> 제17항 참조) 


(4) 받침이 'ㅈ'인 경우 


빚-이[비지] 젖-이[저지] 지읒-이[지으시] 
빚-을[비즐] 젖-을[저즐] 지읒-을[지으슬] 


(5) 받침이 'ㅋ'인 경우 


부엌-이[부어키] 동녘-이[동녀키] 키읔-이[키으기] 
부엌-에[부어케] 동녘-에[동녀케] 키읔-에[키으게] 


위 (3), (4), (5)의 ③은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법〉에 따라 '디귿이[디그지], 디귿을[디그들]', '지읒이[지으지], 지읒을[지으즐]', '키읔이[키으키], 키읔에[키으케]'로 발음하여야 하나, 실제 발음은 '[디그시], [지으시], [키으기]'와 같이 나타나기 때문에 〈표준 발음법〉에서도 이러한 현실 발음을 반영하여 규정화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예외적인 한글 자모는 다음과 같습니다. 


ㄷ 디귿[디귿] 디귿이[디그시] 디귿을[디그슬] 
ㅈ 지읒[지읃] 지읒이[지으시] 지읒을[지으슬] ㅊ 치읓[치읃] 치읓이[치으시] 치읓을[치으슬] ㅋ 키읔[키윽] 키읔이[키으기] 키읔을[키으글] ㅌ 티읕[티읃] 티읕이[티으시] 티읕을[티으슬] ㅍ 피읖[피읍] 피읖이[피으비] 피읖을[피으블] ㅎ 히읗[히읃] 히읗이[히으시] 
히읗을[히으슬] 




'한국어 > 한국어 ::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 이름의 로마자 표기  (0) 2013.07.11
'신라'의 로마자 표기  (0) 2013.07.11
'동광양'의 로마자 표기  (0) 2013.07.11
'부산'과 '제주'의 로마자 표기  (0) 2013.07.11
'의'의 표준 발음  (0) 2013.07.11
'담임'의 표준 발음  (0) 2013.07.11
'신념'의 표준 발음  (0) 2013.07.11
'선릉'의 표준 발음  (0) 2013.07.11
'한류'의 올바른 발음  (0) 2013.07.11
'등산로'의 표준 발음  (0) 2013.07.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