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젊은날의 사색

'엊그저께'에서 '엊'의 받침 'ㅈ'은 발음이 되지 않는데도 왜 'ㅅ'이나 'ㄷ'으로 쓰지 않고 'ㅈ'으로 씁니까? 본문

한국어/한국어 :: 우리말

'엊그저께'에서 '엊'의 받침 'ㅈ'은 발음이 되지 않는데도 왜 'ㅅ'이나 'ㄷ'으로 쓰지 않고 'ㅈ'으로 씁니까?

lumiere 2013. 7. 10. 16:28
반응형

'엊그저께'에서 '엊'의 받침 'ㅈ'은 발음이 되지 않는데도 왜 'ㅅ'이나 'ㄷ'으로 쓰지 않고 'ㅈ'으로 씁니까?



《한글 맞춤법》에서는 형태소들이 결합할 때 그 원래 모습을 밝혀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런 원칙에 준말을 표기할 때도 되도록 원말의 형태를 알 수 있게 하여야 합니다. '엊그제'는 '어제그제'에서 '어제'의 'ㅔ'가 줄어든 것입니다. 《한글 맞춤법》 제32 항의 '단어의 끝 모음이 줄어지고 자음만 남은 것은 그 앞의 음절에 받침으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ㅈ'을 앞 음절 '어'의 받침으로 적은 것입니다. 준말과 원말과의 연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엊그제'처럼 적는 것이 한결 효율적입니다. '어제저녁, 가지가지, 어떻게 해, 어찌하였든'을 각각 '엊저녁, 갖가지, 어떡해, 어쨌든'으로 적는 것도 바로 이러한 원칙에 의한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