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5장 한국어와 전통문화

 

1) 선인들의 언어생활

 

(1) 예절을 지키는 언어생활

(2) 삼가는 언어생활

(3) 실천을 중시하는 언어생활

(4) 표현을 중시하는 언어생활

 

(1) 예절을 지키는 언어생활

언어생활은 사회 활동의 하나이므로 예절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 특히 우리 언어생활은 예절을 잃게되면 의사소통조차 실패하게 된다는 점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음. 선인들은 예절을 지키기 위해서는 말할 것과 말해서는 안 될 것을 가려서 해야 한다고 생각. 희롱X 마음상하게X, 막말이나 허튼 농담X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려서 인정과 배려가 넘치는 것을 화제로 삼느것이 바람직. 듣는 예절도 중시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

-귀가 보배라

-들으면 병이요 안들으면 약이다

 

(2) 삼가는 언어생활

선인들은 말 한마디가 말하는 사람의 인간됨을 총체적으로 드러내며, 그 사람의 운명을 결정지을 수 있는 힘을 갖고 있어서 꼭 필요한 말만 신중하게 가려서 하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

 

-침묵은 금, 웅변은 은

-말 많은 집에 장맛도 쓰다

 

(3) 실천을 중시하는 언어생활

-남아일언중천금

-언행일치

 

(4) 표현을 중시하는 언어생활

자기표현을 위해서 꼭 필요한 때는 제대로 말을 해야 한다고 생각

 

-말 한 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

 

언어생활은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대방을 존중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2) 전통적인 발상과 표현

 

(1) 전통적 수사 : 말이나 글을 아름답게 다듬는 것

 

-자기 낮춤 표현

-강렬한 빗댐 표현

-무속에 근거한 표현

-권위에 기대는 표현

-유추적 발상에 의한 표현

-추상적이고 관습적인 표현

 

(2) 완곡어법의 발상과 표현 : 멀리 우회적으로 표현하거나 미화하여 표현

-생활 속의 완곡어법 : 죽다>돌아가다, 운전수>기사, 청소부>환경미화원

-문학 속의 완곡어법 : 바리데기-산새로 자신을 빗대어 우회시켜 표현완곡, 느낌강렬 효과

 

(3) 직설어법의 발상과 표현 : 직접적으로 표현, 욕설에서 가장 적나라하게 활용

 

(4) 웃음 추구의 발상과 표현 : 웃음이 나올만한 상황과 나아가 눈물겨운 상황에서도 웃음으로 눈물 닦으려 노력.

 

 

 

3) 관용 표현을 통해 본 삶의 방식

 

(1) 속담과 삶

 

-속담의 특징과 형식

1) 사회적 소산,

2) 향토성 반영

3) 민중성

4) 간결한 형식

 

-속담의 역사

아득한 옛날, 정확하지 않음. 본격적으로 문학작품 춘향전,흥부전,토끼전등에서 빛을 발함.

 

-속담의 기능

 

1) 사람들을 깨우침

2) 말하고자 하는 의드롤 비유, 의도적으로 표현

3) 여러 설명이 필요한 말을 간결하게 나타냄

4) 개인이나 사회, 사건등을 풍자

5) 상황을 합리화

6) 설득성

7) 생동성

 

-속담의 변용

삶의 양식,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속담의 표현이나 기능이 변함.

 

-속담의 국어 생활

많이 아는 것도 좋지만, 거기서 그치지 않고 현대적으로 참식하게 변용하기, 속담에 특색 있는 주석 달아보기 -> 풍성한 국어 생활

 

(2) 관용어와 삶

 

-관용어의 개념

이미 습관이 되어 사용하는 말

 

-관용어의 특징

결합 형식이 고정성을 지닌다. 다른 말로 대치했을 때는 그 특수한 관용적 의미는 사라진다.

미역국을 먹었다. 오직 미역국과 먹다의 두 낱말이 결합해야만 시험에 떨어지다라는 제 3의 새로운 뜻이 생성된다.

 

-관용어의 유래와 쓰임

> 법석을 떨다 : 불교에서 법회를 여는 자리. 야단법석에서 유래

> 시치미를 떼다 : 매를 키우는 집에서 매 꼬리털 속에 주소를 적은 헝겊을 묶은 것

> 삼수갑산을 가다 : 유배지로 유명했던 오지, 죽음을 지칭하는 은유적 표현

> 수염 잡는다 : 손님 대접하는 데에서 유래

 

(3) 말놀이와 삶

 

-말놀이의 개념과 특성 : 말을 변형하거나 일반적인 약속을 어김으로써 생겨나는 변화를 재미로 삼는 언어 표현

 

-말놀이의 유형

> 동음이의어 이용 : 천자는 감자요, 논어는 방어로다.

> 파자

1) 오도성을 이용한 파자

2) 한글 파자

3) 억지 파자

> 기타

1) 새말 만들기 : 콩글리시

2) 빨리 발음하기 : 마당에 콩깍지 깐 콩깍지냐 안 깐 콩깍지냐

3) 말꼬리 잡기 : 가랑잎, 잎사귀, 귀엣말, 말장난, 난쟁이

 

(4) 수수께끼와 삶

 

-수수께끼의 개념 : 숨은 것을 찾아내는 겨루기, 어떤 사물을 빗대어 말해서 표현하여 맞히게

 

-수수께끼의 특성

> 화자와 청자가 모두 참여한다 : 수수께끼는 문제를 내고 푸는 일종의 시합.

> 비유적 표현을 사용한다

> 흥미를 추구한다

 

-수수께끼의 예

 

 

한국의 무교 문화와 한국어

 

1) 한국의 민간 신앙과 무교 (샤머니즘)

2) ‘무교의 의례와 한국어

3) 무교적 배경과 한국어의 의미

4) 한국의 무교 문화와 한국어교육

 

1) 한국의 민간 신앙과 무교 (샤머니즘)

여러 가지 민간 신앙: 고사/제사/동제/무교

 

2) ‘무교의 의례와 한국어

무당이 신령을의 힘을 끌어들이는 의식을 일컬어 굿이라고 한다.

 

신령

↗ ↓ ↖

무당 굿 신도

 

3) 무교적 배경과 한국어의 의미

 

4) 한국의 무교 문화와 한국어교육

 

 

한국어의 외래어

 

1. 머리말

2. 의복, 미용의 외래

3. 음식의 외래어

4. 주거의 외래어

5. 교통과 관련된 외래어

6. 정보 통신과 관련된 외래어

7. 그 밖의 외래어

8. 외래어 표기

9. 맺음말

 

앙케트와 앙케이트

 

데뷔>데뷔

앵콜>앙코르

콩쿨>콩쿠르

팡파레>팡파르

앙케이트>앙케트

팜프파탈>팜파탈

노블레스 오블리제>노블레스 오블리주

 

루즈>루주

몽타주>몽타주

사보타지>사보타주

코사아지>코르사주

부르조아>부르주아

캄푸라치>카무플라주

 

 

번역투란?

 

-번역 과정에서 원천언어의 특성이 그대로 전이되어 목표 텍스트에 남아있는 것

-이질적인 특정 어휘의 용법, 낯선 통사 구조, 부자연스러운 어순 등

 

순기능: 목표 언어의 부족한 어휘 체계 보완,목표 언어 문체의 다양화에 기여

역기능: 목표 텍스트의 질 / 가독성 및 이해력 저하목표 언어의 다양한 표현 기회 / 정상적인 발달 저해언어 사대주의 의식 심화

 

한문 번역투

-한문 원전에 토를 달면서 읽고 의미를 새기던 구결 확정작업의 전통이 현대의 구문에까지 영향

 

일본어 번역투

-20세기 전반부에 강요된 일본어 구문의 용법이 국어구문에 영향

 

영어 번역투

-해방 이후 널리 쓰이기 시작한 영어의 구문 구조가 현대 우리말 구문에 영향

 

* 영어번역투의 출현 빈도가 압도적으로 높은 편

 

결론

 

-번역은 증가할 수 밖에 없다(1111월 기준, 한 해 출판 도서의 30%, 베스트셀러의 70%가 번역서 )

-원천언어의 어감을 살리려는 시도이거나,우리 문법 및 어휘 체계에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사용하는 경우

-기타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사용하는 경우

-우리 글로 대체할 수 있음에도특별한 이유나 자각 없이 번역어투를 사용하는 경우

 

 

통신언어에 나타난 역문법화 현상 고찰

- 접두사 -’의 용법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문법화와 역문법화의 원리

3. 통신언어의 문법화와 역문법화

4. 접두사 개- 의 역문법화

 

종래에 단순한 품사 전환 현상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던 통신언어의 문법적 기능 바꾸기 현상 가운데는 보편적 언어 변화의 성격을 띠는 문법화나 그와 반대되는 역문법화 현상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전제로, 최근 청소년들의 언어에서 활발하게 쓰이고 있는 접두사 -’의 역문법화 현상을 분석.

 

첫째,

문법화란 어휘적 의미를 지니던 요소가 문법적 의미를 지니던 요소로 문법적 의미가 덜한 것이 문법적 의미가 좀 더 강한 것으로 변화하는 현상인 반면,

역문법화란 문법화와는 반대로 문법적 의미를 지니던 요소가 어휘적 의미를 지니던 요소로, 문법적 의미가 강한 것이 문법적 의미가 좀 더 약한 것으로 변화하는 현상.

 

둘째

문법화는 주범주>중간범주>소범주>접어>굴절접사 와 같은 경로

역문법화는 그 반대

 

셋째

통신언어 가운데 완전, 대략, , 진심, 대박등은 원래의 문법 범주인 명사에서 부사로 바뀌는 문법화를 경험하고 있는 반면, ‘-, -, -등은 접사가 관형사나 부사, 또는 대명사로 전환되는 역문법화를 보이고 있다.

 

넷째

접두사 -’ 또한 -’-’ 같은 접두사와 마찬가지로 부사로 쓰이고 있어, 역문법화가 진행 중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통신언어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기능 바꾸기 현상을 문법화와 또는 역문법화라는 언어변화의 원리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법화와 역문법화 현상에는 한 가지 중요한 공통점이 있는데, 그 변화의 결과가 대체적으로 최고, 가장, 매우, 아주, 정말등의 뜻을 지니는 정도부사로 수렴되고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 Recent posts